난청 장애등급 판정 기준, 알아야 돈 되는 정보!

안녕하세요! 오늘은 청각 장애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합니다. 청각 장애는 소리를 듣거나 이해하는 능력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의미하며, 다양한 원인과 유형, 정도, 시기에 따라 분류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난청 장애등급 판정 기준에 대한 정보를 중심으로 다뤄보겠습니다.

청각 정애의 개념 및 정의

청각 장애는 소리를 듣거나 이해하는 능력의 감소 또는 상실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청력 손실의 정도, 발생 시기, 원인, 유형, 평형 기능 장애 여부 등에 따라 분류될 수 있습니다.

청력 손실 정도와 발생 시기

난청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을 느낄 정도의 청력 손실, 정상 청력 범위는 20dB HL 이하이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25dB HL 이하를 난청 기준으로 삼기도 합니다.

  • 경도 난청: 26dB ~ 40dB HL
  • 중도 난청: 41dB ~ 60dB HL
  • 중증 난청: 61dB ~ 80dB HL
  • 극도 난청: 81dB HL 이상

농아

일상생활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는 심한 청력 손실 일반적으로 90dB HL 이상의 청력 손실을 의미합니다.

선청력 손실

언어 습득 전에 발생하는 청력 손실, 언어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후청력 손실

언어 습득 후에 발생하는 청력 손실. 언어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선청력 손실에 비해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청력 손실의 원인과 유형

전음성 난청

외이 또는 중이 문제로 인해 소리가 내이로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 보청기 또는 수술로 치료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 외이 질환: 외이염, 귀지 막힘 등
  • 중이 질환: 중이염, 고막 손상, 청골기 손상 등

감음성 난청

내이, 청신경, 청성 중추 등의 문제로 인해 소리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보청기의 효과가 제한적이며,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 내이 질환: 선천성 내이 기형, 소음성 난청, 급성 감음성 난청, 메니에르 병 등
  • 청신경 질환: 청신경염, 신경성 난청 등
  • 중추성 난청: 청각 중추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난청

혼합성 난청

전음성 난청과 감음성 난청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난청 장애등급 판정 기준

  • 평균 순음역치: 500Hz, 1000Hz, 2000Hz, 4000Hz에서 측정된 순음역치의 평균값.
  • 대화상의 어려운 정도: 일상생활에서 대화를 하는데 필요한 음성 수준.
  • 특수교육진흥법 시행규칙에 따른 등급: 1급부터 6급까지. 1급이 가장 심한 청각 장애를 의미합니다.
  • 이명: 귀에서 소리가 들리는 증상, 등급을 가중할 수 있습니다.
청각장애 등급표
청각장애 등급표

평형 기능 장애

  • 개념: 공간 내에서 자세 및 방향감을 유지하는 능력, 전전 기관에 의해 유지됩니다.
  • 검사 방법: 온도 또는 회전 검사, 동요시, 안진, 체위 검사 등
  • 청각 장애와의 관계: 청각 장애와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중요성: 청각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평가 및 훈련이 필요합니다.

결론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각 장애, 특히 난청 장애등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했습니다. 청각 장애는 다양한 원인과 유형, 정도, 시기에 따라 발생하며, 난청 장애등급 판정 기준은 청력 손실 정도, 발생 시기, 원인, 유형, 평형 기능 장애 여부 등을 고려하여 판정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