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에는 재산세 납부 기간이 돌아옵니다.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각 주요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신용카드 혜택을 잘 활용하면 경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산세 납부 시 신용카드 혜택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재산세 납부 시 신용카드 혜택
BC 바로카드 혜택
- 할인 혜택: 재산세 납부 시 최대 1만 원 할인을 제공합니다.
- 무이자 할부: 국세와 지방세 5만 원 이상 결제 시 최대 3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이 있습니다.
신한카드 혜택
- 체크카드 캐시백: 지방세(재산세) 납부 시 전체 납부금액의 0.17%를 현금 캐시백으로 돌려줍니다.
- 단, 캐시백 금액이 1만 원 미만일 경우 마이신한포인트로 적립됩니다.
현대카드 혜택
- 무이자 할부: 5만 원 이상 세금 납부 시 2~3개월 무이자 할부가 제공됩니다.
- M포인트 사용: 일부 세금 납부 사이트에서 M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재산세 카드 납부 시 유의사항
수수료 및 납부 기한
- 수수료: 지방세인 재산세는 카드 납부 시 별도의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납부 기한: 재산세 납부 기한은 7월 16일부터 31일까지입니다. 기한 내 미납 시 3%의 가산금이 부과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택분 재산세 납부
- 납부 방식: 주택분 재산세가 20만 원 이하일 경우 7월에 전액 납부하며, 20만 원 초과 시 7월과 9월에 나누어 납부합니다.
카드 혜택 활용 시 주의사항
- 사전 등록: 카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각 카드사의 이벤트 페이지에서 사전 등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무이자 할부 혜택: 필요 시 무이자 할부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를 활용하면 경제적으로 유리할 수 있습니다.
카드사별 재산세 납부 혜택 요약
카드사 | 혜택 내용 |
---|---|
BC 바로카드 | 최대 1만 원 할인, 5만 원 이상 결제 시 최대 3개월 무이자 할부 |
신한카드 | 체크카드 납부 시 0.17% 캐시백 (1만 원 미만 시 마이신한포인트 적립) |
현대카드 | 5만 원 이상 세금 납부 시 2~3개월 무이자 할부, 일부 사이트 M포인트 사용 가능 |
재산세 납부 시 신용카드 혜택을 잘 활용하면 금전적인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각 카드사의 혜택을 꼼꼼히 확인하고,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방법으로 납부해 보세요. 또한, 납부 기한을 꼭 지켜 가산금이 부과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